Saturday, December 29, 2018

Windows 악성코드 제작 및 분석_4

2018-12-06

제작한 악성코드 디버깅



[ Immunity Debugger ]
사용한 함수 및 메인함수



 IPS 탐지하는지 확인

가상의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IPS로 백도어를 탐지하는지..



  • Webserver내에 server.exe(clshdd) Upload
    • 하드를 파괴하는 exe를 게시판에 올림

exe file is in hacker pc
->ftp from webserver then put in the /var/www/html/asdf
악성코드 업로드 확인


  • Victim가 웹사이트에 들어가 해당파일을 다운로드

    - At that time, figure out the rule 1 when victim downloads the program.


    • rule1  

      • 다운로드시 탐지
      • keyword : PhysicalDrive0, shutdown -r..

    • rule2  

      • 통신을 탐지(TCP 9000)
      • Keyword : get, put



악성코드 분석절차


  • 악성코드 수집

  • 정적분석

    • 가만히 지켜봄
    • bintext - 문자열추출
    • Dependency Walker - WS2.32.DLL(Winsock2.32.dll 내에 사용된 함수들을 보여줌)
    • Image=메모리에 로딩된 실행파일(=PE파일)

  • 동적분석 

    • : 프로세스의 활동을 모니터
    • Process Monitor - 악성코드를 실행시키면 프로세스를 보여줌



Process Explorer



  • 코드 리버싱
    • 뽑아내서 분석

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

List

MobSF

MobSF는 오픈소스 모바일 앱 자동 보안 진단 프레임워크로 자동 분석 시스템 구축할 때 사용한다. 정정 및 동적 분석이 가능하며, Android, iOS, Windows에 대해 침투 테스트, 멀웨어 분석 및 보안 평가를 할 수 있다. 참고자료 필...